어린이를 위해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해례본
관리자 | 조회 14

이 책은 어렵게만 느껴졌던 《해례본》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게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려고 노력한 책이에요. 이 책으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글자라고 인정받는 『훈민정음』에 대해서 바르게 알고 더욱더 우리 글자에 대한 자긍심과 더 나아가 남북 공통언어인 훈민정음을 통해 통일의 문을 여는 〈국보훈민정음해례본〉이 되길 바래요.
목차
시작하는 말 ................................................................................ 3
추천하는 글 ................................................................................ 5
차례 .......................................................................................... 7
이 책의 특징과 미리 알아두면 좋을 내용 정리 ....................................8
첫 번째. 훈민정음에 대해서 먼저 알아볼까요?
하나. 세종대왕은 어떤 왕일까요? .................................................... 10
둘. 훈민정음 해례본은 무슨 책인가요? ............................................. 13
셋.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떻게 발견되었나요? .................................... 15
넷. 훈민정음 창제 때 세종 대왕을 도와준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 17
다섯.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 18
여섯. 훈민정음을 다르게 부른 이름은 어떤 것이 있나요? .................... 19
일곱. 훈민정음의 자모음 이름은 누가 지었나요? ................................ 20
두 번째. 훈민정음 해례본을 쉽게 풀이해 볼까요?
하나. 훈민정음 창제 이유와 목적[어제 서문] ..................................... 22
둘. 새로운 글자 보기와 뜻 간단 소개[예의] ....................................... 23
셋. 글자를 만듦에 대한 풀이[제자해] ............................................... 28
넷. 첫소리에 대한 풀이[초성해] ...................................................... 41
다섯. 가운뎃소리에 대한 풀이[중성해] ............................................. 43
여섯. 끝소리에 대한 풀이[종성해] ................................................... 45
일곱. 글자를 어울려 쓰는 방법에 대한 풀이[합자해] .......................... 49
여덟. 실제 글자를 사용하는 보기[용자례] ......................................... 53
아홉. 훈민정음의 우수성과 편찬자 등[정인지 서문] ............................ 73
《훈민정음 해례본》 집필에 참여한 8학자 .......................................... 76
세 번째.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부록. 국보와 똑같이 새긴 《훈민정음 해례본》
ㆍ정인지서문(鄭麟趾序文) ............................................................... 84
ㆍ용자례(用字例) ........................................................................... 88
ㆍ합자해(合字解) ........................................................................... 96
ㆍ종성해(終聲解) ......................................................................... 102
ㆍ중성해(中聲解) ......................................................................... 106
ㆍ초성해(初聲解) ......................................................................... 108
ㆍ제자해(制字解) ......................................................................... 135
ㆍ예의(例義) .............................................................................. 142
ㆍ어제서문(御製序文) ................................................................... 143
참고문헌 ................................................................................ 145
시작하는 말
세종대왕이 조선의 네 번째 왕으로 등극하시던 시기에 조선에서는 당시 명나라였던 중국의 한자를 썼습니다. 그래서 말과 글자가 서로 다르니 백성은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도 쉽게 전하지 못한 것을 가엽게 여긴 세종대왕은 1443년, 새로운 글자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만들었습니다. 훈민정음을 만들어 모두가 함께 사용하기를 바랐던 세종대왕의 뜻과 달리 최만리를 비롯한 많은 신하는 명나라를 섬기는 조선에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것이라면서 강력하게 반대했습니다. 또한, 양반 사대부도 한자 사용에 익숙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글자를 만들 필요 없다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글자를 ‘암글’ 또는 ‘아햇글’이라면서 비하했습니다.
그렇지만, 세종대왕은 이를 지혜롭게 물리치시고 자음 17자와 모음 11자 모두 스물여덟 자인 훈민정음으로 『용비어천가』를 정인지와 권제, 안지 등에 편찬하게 한 뒤 1446년 9월에 새롭게 만든 글자의 창제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전체 33장으로 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정식으로 반포했습니다. 이 중 26장이 훈민정음에 대한 풀이[해]와 예시[례]를 담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훈민정음 해례본》이라고 합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1940년에 이르러 발견되고서야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바르게 알 수 있었고, 한글에 대한 많은 궁금증도 풀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훈민정음 해례본》은 훈민정음이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해서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설명이 한문으로 쓰여있는 책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나 읽을 수 있는 굉장히 어려운 책으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더욱이 《훈민정음 해례본》을 한글로 풀이해 놓았다는 책들도 최소한 고등학교 학생들 이상에서 배우는 책으로 알고 있었습니다.그렇지만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이한 책이 없었기 때문에 어렵다고 느꼈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그래서 앞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우리 어린이들이 귀중한 훈민정음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훈민정음 해례본》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서 쉽게 풀어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실제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을 재현한 박영덕 충북도 무형문화재 제28호 각자 명장 선생님이 원본과 똑같이 목판본으로 새겨서 펴낸 아주 귀한 자료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한 마음으로 특별부록으로 실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의 글자 한글을 낳게 한 훈민정음이 왜 세계적인 문자인지 이유를 알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훈민정음 창제 580돌 기념
추천사
박재성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교육학박사)
1443년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은 세계의 약 3,000여 개 문자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인정받는 인류 역사상 최고의 문자입니다.
그런데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훈민정음』이 고대 글자를 모방했다거나 몽골 문자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을 비롯하여 심지어는 전통 한옥의 창문 살을 보고 모양을 본떴다는 등 비하하는 억측들이 많았습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처음 만드셨을 때 닿소리인 자음 17자와 홀소리인 모음 11자로 이루어진 스물여덟 자를 만드셨지만 안타깝게도 그중에서 ㅿ(반시옷), ㆁ(옛이응), ㆆ(여린 히읗),ㆍ(아래 아) 등 네 글자를 잃어버린 채 오늘날 우리는 자음 14자와 모음 11자인 24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어서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와 함께 정확히 언제 반포되었는지도 알 수 있게 되었지만, 한문으로 쓰인 책인 데다가 원리가 굉장히 어렵게 느껴졌기 때문에 청소년쯤은 되어야만 배우고 이해할 수 있는 어려운 책으로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오래전부터 어린이들에게 한문을 지도하면서 어린이들이 의외로 한글을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문선영 선생님이 한문으로 쓰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서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고 기쁜 마음으로 추천하는 글을 씁니다.
이 책은 『훈민정음』 창제라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 내용을 우리 아이들이 마치 전래동화책을 읽듯이 재미있게 읽으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풀이했기 때문에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나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우리나라 국보임과 동시에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자랑스러운 유산입니다.
특히 이 책은 어린이들이 직접 실제로 《훈민정음 해례본》을 느껴볼 수 있도록 충북도 무형문화재 제28호 각자장으로 지정받으신 운봉 박영덕 선생님이 국보 제70호와 똑같이 재현한 아주 귀한 자료를 특별부록으로 실을 수 있도록 제공해 주셨습니다.
우리 어린이들이 이 책을 통해서 더욱 정확하게 『훈민정음』을 알고 바르게 이해하여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문자를 가지고 있는 나라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합니다.